나이키Big4 신발공장들
Footwear 산업분야에 있어서 나이키는 자체적인 신발을 제조하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대신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OEM 또는 ODM 방식의 협업하는 형태로 신발 제조산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나이키 신발공장 Big4 제조 파트너사들은 한국계 공장으로는 TKG태광(태광실업), 창신이 있으며 대만계 공장으로는 파우첸(Pou Chen), 펭타이(Feng Tay)가 있습니다. 이들 공장의 전체 오더 볼륨이 타경쟁사 대비 압도적이기에 Big4 로 불리고 있습니다.
나이키 신발공장 Big4 (한국)
TKG 태광(태광실업)
기본정보
설립일 | 1980년 12월 30일 |
업종 | 신발 제조업 |
대표자 | 박주환, 김재민 |
주요 주주 | 박주환: 61.65% 기획재정부: 18.31% (2022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견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883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9억 5,542만원(2022년 기준) |
매출액 | 연결: 2조 1,417억 4,830만 2,652원(2021) 별도: 1조 8,756억 8,483만 9,525원(2021) 3,826,122,374,004 |
영업이익 | 연결: 1,256억 9,561만 9,597원(2021) 별도: 1,021억 2,982만 5,941원(2021) 337,781,806,076 |
순이익 | 연결: 969억 3,175만 1,699원(2021) 별도: 649억 722만 3,993원(2021) 376,015,677,184 |
자산총액 | 연결: 2조 6,122억 5,623만 7,847원(2021) 별도: 1조 5,809억 8,680만 178원(2021) 3,346,410,388,879 |
부채총액 | 연결: 1조 3,868억 7,382만 9,271원(2021) 별도: 7,208억 2,331만 5,933원(2021) 1,241,563,473,012 |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2635번길 26 (안동) |
홈페이지 | https://tkg.taekwang.com |
TKG 태광(태광실업) 주요특징
신발완제품을 생산하는 전문 OEM업체로 나이키와 거래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생산투자로 국외 주요 거점에 생산기반을 구축하였으며, 국내외로 연구개발 센터를 두어 고객의 요구에 맞는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TKG 사업부 중에서 신발부문은 나이키 운동화 OEM(또는 ODM) 사업을 영위하며, 스포츠산업에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 스포츠 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추구 등으로 스포츠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며, 2022년 기준으로 내부거래를 제거한 순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3% 증가한 2조 4,884억원 입니다.
티케이지 태광의 신발부문 계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산업군도 있으나, 신발 산업군에 대해서만 기술하고자 합니다.
(10개 법인) | 티케이지태광㈜ TKG TAEKWANG VINA JOINT STOCK COMPANY TKG TAEKWANG MOC BAI JOINT STOCK COMPANY TKG TAEKWANG MTC VINA CO., LTD TKG TAEKWANG CAN THO CO.,LTD TKG TAEKWANG Binh Phuoc Co., LTD Qingdao Tae Kwang Shoes Co., Ltd. PT TKG TAEKWANG INDONESIA PT TKG TAEKWANG Cirebon TAEKWANG MYANMAR COMPANY LIMITED |
TKG 태광의 공장은 다음 그림과 같이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 |
나이키 신발공장 중 TKG 공장위치 |
국내의 신발 제조회사 중에서는 TOP이라 볼 수 있으며, 나이키 제품만 100% 제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몇년전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하여 자체적인 자재공급 능력도 어느정도 확보하고 있으며, 제품의 개발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직원수를 경쟁사 창신INC와 비교할 때 비슷한 편이긴 하나, 전반적인 매출규모가 더 큰 편이라 나이키에게는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파트너사로 보입니다.
기업공시 자료가 충실히 작성되어 있어 회사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경쟁사(창신INC)대비 관리적 측면에서는 더 나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창신INC
기본정보
설립일 | 1982년 1월 15일 |
업종 | 신발 제조업 |
대표자 | 남충일 |
주요 주주 | 정환일 49.52% 플로라재단 25.00% |
기업구분 | 중견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965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455,425,402,445 (2022년 기준) |
매출액 | 연결: 2,222,621,594,818 |
영업이익 | 연결: 200,399,873,909 |
순이익 | 연결: 125,862,560,983 |
자산총액 | 연결: 1,186,652,901,016 |
부채총액 | 연결: 731,227,498,571 |
소재지 | 부산 사하구 장평로 242 |
홈페이지 | http://www.dskorea.com |
창신INC 주요특징
나이키 신발을 100% 생산하고 있으며, 한때는 부산의 구글이라고 불릴 정도로 지역사회에서 근무 환경에 대해 평판이 좋은 회사였습니다. 창신INC 경우 TKG 태광과 유사한 규모의 공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업의 문화는 태광 대비 자유로운 분위기 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창신의 공장은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한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습니다.
나이키 신발공장 Big4(대만)
파우첸(POU CHEN)
파우첸의 경우는 다른 경쟁사들과는 다르게 나이키 뿐만 아니라 아디다스, 아식스, 뉴발란스, 팀버랜드, 살로몬 등에 OEM/ODM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신발의 핵심 부품 공급망을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파우첸 역시 연구개발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우첸의 기업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추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pouchen.com/index.php/en/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미얀마 등에 제조시설과 판매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매출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우첸의 신발제조 공장의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펭타이(FENG TAY)
펭타이 역시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다른 BIG4 경쟁사 대비해서 연구개발 센터의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판이 나 있습니다. 회사 홈페이지에서도 그런 능력에 대해서 다른 경쟁사들과는 다르게 차별적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펭타이 기업정보는 아래 주소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펭타이의 경우 오토메이션(Automation)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흥미롭습니다. 몇년 전 4차산업과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붐이 일었을 때 독일의 지멘스와 아디다스가 협업하여 신발 자동화 라인을 구축한 것이 떠오릅니다. 결국, 신발산업의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아디다스는 자동화 라인을 베트남에 있는 화승엔터로 이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하듯이 신발 제조의 자동화는 쉽지 않아 보이는데 과연 펭타이는 신발 제조 자동화를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펭타이는 다른 경쟁사와 다르게 인도에도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발사의 특성상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인건비가 저렴한 곳을 찾아 공장을 셋업하는데 인도 공장을 잘 운영할 수 있을지 타 경쟁사 대비 운영 노하우를 먼저 선점할 수 있을 지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