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공장, 개발부서는 어떤 업무를 할까?

신발 공장에서는 어떤 부서들이 어떤 업무를 하게 될까요? 크게 본다면 신발 공장은 개발조직과 생산조직으로 나뉜다고 보면 됩니다. 개발조직의 경우, 제품의 디자인 부터 샘플 생산까지 담당하며, 생산조직의 경우는 샘플로 만들어진 신발을 말그대로 생산체계로 돌입하여 직접 생산하여 고객에게 납품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신발개발업무를 살펴보겠습니다.

국내에 있는 나이키 신발 공장의 경우는 어떠할까요? 나이키 신발을 만드는 Big4 공장 중에, 한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는 TKG태광과 창신INC 두 회사가 될 것입니다. 이 두 회사를 기준으로 본다면, 본사와 개발조직은 한국에 위치하고 그 업무를 수행하며, 생산조직은 해외에 위치하고 생산을 수행합니다.

그러면, 개발업무와 관련된 부서와 그 기능은 어떠한지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센터(PCC) : 신발개발업무 소개


신발 제조 회사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이미 알고 계실 내용일 수 있지만, 신발이나 제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나 신입사원들은 아무래도 조직적인 구조와 업무 체계가 생소할 수 있습니다. 조직 구조와 각 부서의 역할을 이해하면, 회사의 성공과 실패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각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개발센터(PCC : Product Creation Center)에서는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담당부서


PM(Project Manager)​

  • 고객사의 마켓 리서치와 디자인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면서 제품 생산을 고려한 문제와 해결책을 파악하고 개발 완료 단계까지 완성도 있는 제품으로 거듭나도록 연구합니다.
  •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 기술을 신제품에 접목하는 과정 속에서 고객사의 니즈를 반영하면서 개발센터 내의 유관부서를 리딩하고 소통하며, 안정적인 개발 타임라인을 수립합니다.
  • 해외 법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생산 환경의 난점을 수렴하여 제품이 더욱 생산 친화적으로 상용화 될 수 있도록 고객사를 설득하며 이에 필요한 품질 달성 가이드라인을 제시 합니다.

Innovation

다양한 모델에 광범위 하게 적용되는 Key Technology 와 Platform을 개발하는 부서로, 다양한 최신 산업기술을 탐색하고 신발에 접목 가능한 아이디어 도출 및 검증하는 직무입니다.


개발지원부서


PLANNING

  • 내/외부 환경 분석 및 오더 관리로 최고의 제품 밸런싱을 추구하고, 고객사와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오더 협의로 당사가 수립한 영업 목표를 달성하고 매출 극대화를 추구합니다. 
  • 전사 중/장기 성장 계획과 각 법인에 최적화된 소싱 전략 방향을 수립하고 전략 실행을 위한 가이드 및 방향성을 수립합니다.

COSTING

  • 개발 단계부터 생산 단계까지 제품의 적정 원가를 산정합니다. 이를 통해 대내적으로는 개발/생산에 대한 가격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며, 대외적으로는 고객사와 협상을 통해 고객에 경쟁력 있는 판매 단가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을 실천합니다.
  • 회사의 장/중/단기 그룹 경영 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 산정 및 분석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해외공장에 원가 절감과 최적의 생산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LEAN

  • PCC의 중/장기적인 Vision 수립과 정책방향 설정을 지원하고, 주요 KPI(핵심성과지표)들이 달성될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 현업 부서의 업무 성과를 결정하는 비용, 품질, 업무 효율 등에 대한 낭비요소를 분석하고, 개선하는 Process Innovation 활동을 실행합니다.
  • 본사와 각 해외공장 간의 업무 프로세스 동기화를 위한 Continuous Improvement 활동을 담당합니다.

표준관리

PFC(Process Flow Chart)

  • 개발 모델 각 공정별 점검/분석/시화를 통하여 PFC(Process Flow Chart)를 작성/검토/관리하며 고객, 유관부서, 그리고 해외공장에 제공하여 원가 산출, 개발 지원 및 생산 모델에 관한 지속적인 공정 분석과 검토, 업데이트를 통해 원활한 해외공장 생산 업무를 지원합니다.

채산

  • 개발 및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단위 당 소요량을 계산하여 채산서를 작성하고 등록/관리/분석하여 고객, 유관부서, 해외공장에 채산 표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격 및 자재 발주에 필요한 업무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합니다.

BOM(Bill of Material)

  •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필요한 자재, 채산 정보 (BOM:Bill Of Material)와 제조공정도(ROUTING)를 작성하여 해외공장에 제공함으로써, ERP를 통한 자재의 발주 및 구매와 생산현장의 제작 업무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지원 및 관리합니다.

엔지니어링 운영

EPM(Engineering Project Management)

  • 엔지니어들의 업무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나이키 Best Practice 관리/전파 및 BP 업데이트에 따른 유관부서들의 업무 개선 방안 제안과 내부 절차 수립 및 변경 관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 엔지니어링 관련 대/내외적 주요 현안과 이슈를 신속히 파악하여 적기에 대응할 방안을 수립하고 유관부서에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MFG ENG(Manufacturing Engineering)

  • 해외공장의 생산성 향상 및 안정적인 제품 품질을 유지가 가능하도록 고객사와 함께 핵심 관리 지표를 설정하고 전략 지표에 대한 평가 및 관리합니다.
  •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정기/비정기적 Manufacturing 관련 이슈에 대응하고, 고객사의 장/단기 성장 전략에 발맞추어, 각 공장의 Capacity& Capability를 분석합니다.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 생산환경의 역량 강화 및 밸류에이션 향상을 위해 투자 의견을 제시/협의합니다.

DPC(Digital Product Creation)

  • 실제 샘플과 디지털 간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기 위한 모델링의 베이스가 되는 3D 스캔을 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작하고, 모델링에 컬러, 자재 및 맵핑 랜더링 작업을 수행하여 디지털로 구현합니다.

품질

  • 전사 품질관리의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표준화를 통해 품질 이슈를 개선하고 향후 동일한 이슈를 방지하기 위해 사후 관리합니다.
  •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과거 유사 컨셉 및 자재를 사용한 모델들의 개발 및 양산 히스토리를 확인하고, 신제품 양산 전 품질 점검 여부를 확인하여 품질에 관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합니다.
  •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적합 제품을 선별하여 구분 관리하고, 생산 품질지표를 관리하여 개선 항목을 도출해 품질 향상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양산된 제품의 소비자 품질 이슈를 접수하여 원인 분석 및 대응 방안 수립 활동을 전개하여 후속 조치를 진행합니다.

설비

  • 경영 환경에서 발생되는 설비투자와 유관하여 Energy saving (Green energy 적용 검토), Efficiency improvement, Safety 개선 설비의 견적부터 계약, 검수까지 실시하여 해외공장의 경우 수출업무까지 진행합니다. 또한 전사 설비 표준화, 법인 간 설비 이동 및 설비 기간 관리를 위해 법인과 유기적으로 소통하여 전사의 설비를 종합적으로 관리합니다.
  • 제화업계의 신기술 및 신설비의 도입을 위해 중국 등 3국 설비 시장조사를 통한 기술 현황을 공유하며, 전사에서 발생되는 설비 Issue에 대해 제조사와 협업하여 Solution을 제공합니다.
  • 설비의 Trouble로 인한 생산라인의 문제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설비혁신, 유지관리, 자주 보전 습관화, My Machine 제도 등 설비 최적화 관리를 위해 TPM활동을 진행합니다.

샘플관리

생산관리/지원

  • 고객이 요구하는 샘플 생산을 담당합니다. 자재 준비부터 제조, 발송까지 모든 공정의 생산 일정, 생산 수량 및 기능직 인원을 관리하며, 해외 생산기지 대량 생산 시 발생 가능한 모든 리스크 분석과 그에 따른 사전 이슈 예방활동을 수립하고, 공정 표준화 및 최적화를 통하여 해외공장 생산을 지원합니다.
  • ESG 지속 가능 경영 환경에 발맞추어 산업재해 없는 안전한 근무환경 구축을 위해 위험성 평가 및 안전보건교육 등의 현장 관리 감독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도안

  • 고객이 요구하는 그래픽을 신발에 적용하기 위해 도안을 설계하고, 생산성과 작업성을 고려한 디자인 개선 제안을 통해 신발의 시각적 효과를 개선합니다.
  • 본사 샘플 생산과 해외공장에서의 생산 준비를 위한 업무 지원 및 그래픽이 적용되는 각종 재봉 부품을 발주하며 관련된 개발 히스토리를 관리합니다.

3P 가공

  • 신규 모델 개발 및 생산 조건을 셋업하여 본사 샘플 제작뿐 아니라 해외공장의 부품 생산도 원활하게 생산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전사의 가공 파트 실적 관리를 통해 불량률 및 수율 향상을 지원하며, NCF 대비 공정 개선 활동과 솔 정보를 제공합니다.

자재

PMM(Project Material Management)

  • Material Excellence = Product Excellence라는 목표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다양한 개발 자재 사전 강건 설계 활동과 나이키 주요 자재 정책에 따른 양질의 자재를 공급하기 위한 선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이키/협력업체와의 업무 교신을 통한 상호 신뢰로 자재 품질/납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여 자재 품질에 관한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합니다.

자재 품질 관리

  • 우수한 품질의 자재를 본사/해외법인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전 품질 점검 및 사후관리하여 벤더의 품질 관리능력 향상을 위하여 지도/관리합니다. 

구매 관리

  • 국내/외 구매환경을 분석하고 구매원가절감을 통해 기업의 가치창출을 이바지하며, 해외공장 지원 및 관리까지 전략적 경영활동을 수행합니다.

수출/입 관리

  • 각종 원부자재, 설비, 소모품류 수출입 통관 및 관세환급을 직접 진행합니다.
  • 국내/외 무역 환경 변화에 따른 각종 FTA, R-CEP 등 관세 특혜제도를 관리합니다.
  • 실시간 화물 추적, 화물연대 파업, 세관 대응 업무 등 각종 물류 이슈에 대하여 사전/사후 관리합니다.

자동화

신발 제조 공정의 생산성 향상 및 자동화를 위한 설비를 제작하고, 새로운 제조 공법의 코어 기술력 개발을 위해 세 가지 중점 직무로 업무를 추진합니다.

PM(Project Manager)

  • 자동화 프로젝트 매니저 역할로서 기존 생산공정 개선을 위한 자동화 설비 제작 프로젝트를 관리, 수행 및 리딩을 진행하며, 전반적인 공정 자동화에 관련된 아이디어 도출 및 실행을 담당합니다.

자동화 설계

  • 자동화 장비의 콘셉트, 안전설계 검토, 장비의 제작, 설치, 시운전 등 자동화 설비 설계 업무를 진행합니다.

자동화 컨트롤

  • 자동화 설비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담당으로, 소프트웨어 분야(MSE)와 전기제어 분야(MCE)로 업무로 나뉘어 진행합니다.

    *MSE – 자동화 설비의 로봇제어 프로그램, 2D/3D Vision 시스템 개발
    *MCE – 전기제어 회로설계 및 PLC 프로그램을 개발

보안

  • 보안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본사 및 해외 법인들의 보안 관리 체계를 확립하여, 자사 및 고객사의 유/무형 자산을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포괄적인 활동을 진행합니다.
  • 보안과 관련된 법적 필수사항, 고객사의 요청사항과 글로벌 보안 표준을 모두 준수할 수 있도록 보안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정기적 보안 진단을 통해 발견된 위험을 관리하여 보안 사고 발생을 최소화합니다.

엔지니어링 부서


Pattern Engineer(PE)

  • 신규 디자인 모델의 Upper 패턴 설계와 개발 단계에서 고객사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 Upper 디자인 수정 및 설계 품질 개선 업무 역할을 수행합니다.  
  • 설계된 패턴에 따른 샘플 생산 최적화를 위해 제품 Upper 전체 프로세스를 기획, 시험, 개선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 개발 중이거나 개발 완료된 제품의 양산을 위해 설계된 패턴과 제품의 제작 프로세스를 유관부서와 해외공장에 적기에 제공하고, 최종 상업화 준비 수행과 함께 대량 생산을 대비한 점검 지원 업무를 수행합니다.

Tooling Engineer(TE)

금형설계

  • 신발의 주요 핵심 파트인 솔(Sole) 개발과 안정적인 생산 연계 활동을 진행합니다. 주로 솔 제품 모델링, 금형 설계, CNC 가공 데이터 생성 및 샘플 품질을 관리하고, 설계 자동화 P/G 자체 연구하여 개발에 적용합니다.

    *CAD/CAM/CAE, 3D SCAN, 3D PRINT 활용

금형가공

  • CAD/CAM을 활용한 CNC 정밀가공, 무인 자동화 가공(AWC, APC) 설비를 운영하고, 5축 가공기 운영하여 NHW 금형을 제작합니다. 깨끗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최신 사출 성형기와 2 Color 사출 성형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신제품 개발에 활용합니다.

    *AWC – Auto Workpiece Changer
    *APC – Auto Pallet Changer
    *NHW – No Hand Work 

Chemical Engineer(CE)

화공개발팀

  • 우수한 쿠셔닝과 내구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FOAM 개발 및 제작 조건 최적화를 통해 신규 모델에 적용성을 극대화시키고, 다양한 화학 협력사와의 협업으로 신규 케미컬 개발, 또는 재활용 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신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에 참여합니다. 또한, 프로세스 간소화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엄격한 공정의 검증 과정을 거쳐 원가 절감을 고려합니다. 

화공기술팀

  • 신발 개발에 있어 최적의 제조 공정을 설계하며 신발 부품마다 모든 접착 조립 공정을 담당합니다. 제품의 최종 품질을 점검하는 부서로서 개발 중인 모든 신규 모델의 갑피와 창에 대한 다양한 내구성 테스트를 통해 디자인, 자재, 또는 색상 변경 등 필수 변경 사항을 고객사와 커뮤니케이션하여 최상의 옵션을 적용함으로써 시장에서도 우수한 품질의 신발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개선 조치를 진행합니다.

Industrial Engineer(IE)

  • 신규 모델 개발 시 신뢰도 높은 생산 예측 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각 부서 구성원들이 생산에 최적화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PCC 업무 효율성 및 해외공장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고, 신뢰도 있는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시스템 체계를 구축합니다.

Jig Engineer(JE)

Upper

  • 고객사가 디자인한 신발의 Upper 파트를 구현하기 위해 창의성을 발휘하여 치공구를 설계하고, 사용 방법을 작업자에게 지도함으로써 개발부터 생산까지 차질이 없도록 관리합니다.

Tooling

  • 고객사가 디자인한 신발의 Upper과 Bottom 제조를 위해 신규 개발 공정에 대한 실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개선하여 신발 품질 개선을 위한 치공구를 설계 및 개발합니다




경영지원 조직 : 신발 개발부서 업무 소개


경영 및 전략 부서


경영기획

  •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해 중/장기 전략 및 Vision과 목표 달성을 위한 경영방침 수립합니다.
  •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 환경을 직시하고 선제적으로 전략 방향을 도출하여 최고경영자의 조직운영에 최선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보좌하고, 경영목표 수립과 그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 모두에게 끊임없이 목표 달성을 독려함으로써 지속 성장을 견인하여 전사 사업을 이끌어 나갑니다.
  • 각 조직 간 협업 & 조정 역할, 경영혁신, 투자 타당성 검토, 대외 리스크 점검 등 주요 경영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전사 조직 평가 및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진행 점검 등의 업무를 진행합니다. 

진단

  • 경영 리스크 관리와 기업가치 증진을 위해 그룹 내 경영활동 전반의 적법성, 효과성, 효율성을 점검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과제를 발굴할 수 있도록 정기/비정기 진단을 수행합니다.
  • 투명하고 공정한 기업문화 확립과 조직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건/사고 및 제보에 대한 조사와 윤리경영 캠페인 활동을 실시합니다.
  •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회계 관리 제도의 설계 및 운영평가를 진행합니다.

원가전략

  • 신발 사업의 생산/인사/재무 데이터를 집계하여 검증하고 정제된 데이터를 고객사에 제출하며 실적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연도의 실적을 예측하여 고객사와의 비즈니스 협상을 진행합니다.
  • 고객사의 변화하는 가격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내부 분석 및 비즈니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장/단기 임팩트 추정 및 당사의 원가 전략을 수립해나갑니다.

정보전략

  • 정보화 예산관리/계약관리/운영 관리/프로젝트 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고, 전사 IT 최적화 및 스마트한 업무 환경 구축을 위한 업무를 추진합니다. 
  • 본사/해외법인/계열사의 정보 시스템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향을 검토하여 정보화 부문 중/장기 전략 수립과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적인 실행방안 및 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시스템 개선/정보보안 정책/정보화 프로세스&표준화 관리/정보화 지침 수립 등의 방향성 및 기준을 제시합니다.

인사 및 총무 부서


인사

  • 경영 환경과 사업전략에 따라 본사/해외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인력 운영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구성원들이 최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를 비롯한 평가/보상/승진/육성체계를 수립하고 운영합니다.
  •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노동관계법에 따라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의 법률 준수 여부를 검토 및 위반행위를 예방하며,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노사협의회를 설치 및 운영하고 사후관리합니다. 

총무

  • 입사부터 퇴사까지 임직원들의 회사 생활을 설계하고 책임지며, 모든 구성원에게 만족스러운 근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좋은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사무 환경, 복지 등을 담당합니다. 
  • 회사의 자산인 부동산, 차량, 시설 등 각종 비품을 점검/관리하고, 사무공간 개선 및 경조사, 근무복, 사내식당, 숙소, 헬스장, 콘도 등의 복지 관리와 국내외 출장 및 해외 파견 관련 출장비, 항공권, 비자 등의 출장 및 지원을 관리합니다. 

재경 부서


회계

  • 월 단위 결산을 통해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주요 의사결정의 바탕이 되는 회계 데이터를 제공하며, 보편적인 회계 원칙에 따라 다양한 회계 결산/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필요한 데이터를 제작합니다.
  • 회계정책 및 세법을 검토하며 보수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함과 동시에 회사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수립합니다.

재무

  • 그룹사 전반의 영업활동과 자본거래 등에 수반되는 자금의 수입 및 지출을 파악하고, 미래 일정 기간에 대한 손익을 예측하여 유동성 확보와 수익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적시 적절하게 자금을 조달/운영하고 자금 집행을 통제합니다.
  • 환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환시장의 환경 변화를 분석 및 대응하여 외화 자금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회사 내부의 재무/비재무/주요 경영사항 등 경영 전반에 대한 정보를 신속 정확히 제공합니다.

RSM(Responsible Sorcing and Manufacturing)


안전리스크관리팀

  • 안전한 조직 문화 조성을 위해 안전보건 경영관리 체계 정착을 통한 모든 구성원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산업재해 예방/법규 준수/EHS 프로그램 이행/고객사 컴플라이언스 규정 준수를 통해 회사가 지속 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법규 준수 – 안전 관련 법규 및 고객사 CLS(노무, 안전, 환경) 준수를 통한 리스크 최소화 사고 예방 – 위험성 평가, 사업장 내/외의 사고조사 내용 확인 및 선제적 예방 활동 전개 안전 문화 구축 – 임직원들의 안전 의식 고취 및 회사의 안전 문화 구축
    리스크 예방 관리 – 사업장별 컴플라이언스 정기 감사를 통한 잠재적 위험 파악 및 개선 대책을 수립

환경팀

  • 그룹의 생산 활동으로 파생되는 환경 영향 최소화 계획 수립하여 고객사의 Move To Zero 전략에 대응하고 TKG 태광 그룹 자체의 지속 가능 생산 기반을 조성합니다.

    폐기물 최소화 – 폐기물 감소 계획 수립, 재활용 비율 향상 및 자원 순환 경로 개발
    사업장 환경 관리 – 국내/외 사업장 환경 관련 법규 및 고객사 CLS 준수 여부 모니터링 탄소 배출 최소화 – 그룹의 탄소 배출 감소 전략 수립, 실적 관리, 탄소 감축을 위한 재생 에너지 사업을 검토 및 사업장 내의 에너지 효율화 프로젝트 실행

신발개발업무
신발개발업무, 개발센터 직무 알아보기


이상으로 신발제조회사에서 개발업무와 관련된 부서는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위 자료는 TKG태광광 창신INC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아래 홈페이지 주소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TKG태광 홈페이지

창신INC 홈페이지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