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SG경영의 중요성 |
ESG 경영의 대두
보편적인 개념의 ESG 경영
오늘 날 산업현장과 기업들에서는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거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소비자 즉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항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음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성 향상 --> 품질경영 --> 정보화 경영 --> 혁신(Inovation)경영 --> ESG 경영 |
소비자들이 기업에게 원하는 수준과 요구사항은 이전의 고객만족, 고객감동을 벗어나서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과 그 실행으로 옮겨왔습니다. 기업들이 단순하게 이윤을 창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1)환경 보호(Environment) 2)사회적 책임(Social) 3)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 를 요구하구 있는 것입니다.
신발산업에서의 ESG 경영
신발산업을 들여다 보면, 신발의 원료를 만드는 산업과 제조하는 산업, 판매하는 산업들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신발이란 제품은 고무, 화학물질, 에너지, 폐기물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반영되어 만들어 지는데,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사항이 바로 ESG 경영인 것입니다.
글로벌 신발 산업에서는 환경 오염문제, 작업자의 노동환경, 공급망과 기업경영의 투명성 등과 같은 이슈와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 사항에 직면하여 ESG경영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신발을 판매하는 브랜드들이 ESG 경영의 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바로 브랜드의 명성과 가치에 영향을 받게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에도 큰 데미지를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나이키, 아디다스, 아식스 등 글로벌 브랜드들은 지속가능한 원료 사용, 친환경 생산공정, 노동자 권리 보호 등의 전략을 강화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예시적인 사건들로 인해 브랜드들이 노동환경 개선과 브랜드 가치를 수정한 적이 있습니다.
- 나이키 : 아동노동 및 열악한 노동환경
- 아디다스 : 환경오염 및 폐기물 이슈
- 리복 : 공장안전문제
- 스케쳐스 : 노동조건 및 인권문제
관련 기사
- 나이키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06
- 아디다스 https://goodonyou.eco/adidas-ethical/
- 나이키+아디다스 https://phys.org/news/2011-07-nike-adidas-suppliers-polluting-china.html
국가론과 ESG 경영
'뜬금없이 국가론이냐?' 라는 의아한 생각이 들수도 있겠습니다. ESG경영에 대한 내용을 풀어나가기 전에 인문학적인 고찰(?)을 먼저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론을 다루었던 철학자들
서양철학에서 국가론하면 가장 먼저 떠올려지는 철학자는 바로 플라톤입니다. 그리고, 국가론적인 사상을 다루었던 철학자들이 홉스나 루소 등과 같은 사람입니다. 그들의 국가론에 대한 정의와 기업의 ESG 경영적 측면을 들여다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플라톤(Plato): 이상국가는 정의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업 역시 경제적 성장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적 균형을 고려해야 합니다.
홉스(Thomas Hobbes): 사회계약을 통해 국가가 개인을 보호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기업 역시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루소(Jean-Jacques Rousseau): 공동선을 강조하며, 기업도 단순한 이윤 창출이 아닌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점에서 ESG 경영과 연관됩니다.
이 글에서는 ESG 경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국가론 적인 개념을 먼저 이해한다면 이를 확장하여 좀 더 쉽게 ESG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듯이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를 줄인 말입니다.
하나의 국가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요소들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2) 국민과 국민 그리고 조직과 조직, 국가와 국민 등 국가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사회적인 체계와 책임(Social),
3) 정부의 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 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러한 ESG 경영에 대한 개념은 국가 --> 교육 --> 기업 등으로 확장해서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교육이란 개념에서도 학생들이 교육을 잘 받을 수 있는 환경, 학생들간의 사회적 체계와 책임, 학교의 투명한 교육적 지배구조 등이 그것입니다.
즉, 어느 조직에서든 ESG 경영의 개념은 단순한 시대적 트렌드가 아닌, 조직 또는 기업이 사회적 계약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필수 전략이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가론과 ESG 경영의 공통 분모
국가론을 통해서 ESG 경영과의 연결고리를 찾아보았습니다. 철학적인 정의와 ESG 경영이라는 개념을 비교하고 그 교집합적인 요소들을 들여다 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점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정의(Justice)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강조하는 '정의'의 개념처럼 ESG 경영도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공정성과 윤리를 중요시해야 합니다. 정의란? 결국, 지배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사회적인 체계를 위한 토대가 되고, 지속가능성은 환경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기본이 됩니다.
사회계약(Social Contract)과 기업의 책임: 홉스와 루소의 사회계약 개념처럼, 기업과 소비자 및 노동자 간의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합니다. 사회적인 계약의 개념은 사회적인 관계와 체계의 근간이 되는 한 부분을 나타내고, 큰 의미에서는 기업의 투명적 지배관계와 책임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공선(Common Good)과 기업의 역할: 국가가 국민의 복지를 책임지는 것처럼, 기업도 ESG 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합니다. 노동자와 소비자에 대하여 일을 잘 할 수 있는 환경, 만들어진 제품과 공정으로부터 지속가능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공공선은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철인(哲人)정치 개념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소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이러한 서양철학에서의 국가론적 관점은 ESG 경영이 단순한 경영 전략이 아니라, 기업이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는 필수 요소임을 통찰하게 해줍니다.
![]() |
브랜드社 들의 ESG경영, 나이키/아디다스/호카 |
신발 회사들이 추구하는 ESG 경영
신발 회사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ESG경영을 추구하고 실천하는가?
ESG 경영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나이키, 아디다스 등과 같은 글로벌 신발 브랜드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신발업계의 메이져 브랜드 중 일부의 ESG 경영방식에 대한 예시를 보여줍니다.
나이키(Nike) : https://www.nike.com/kr/sustainability
환경(Environment): ‘Move to Zero’ 캠페인을 통해 탄소 배출과 폐기물 저감을 추진
사회(Social): 노동 환경 개선 및 공정 무역 준수
지배구조(Governance):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및 윤리적 공급망 구축
아디다스(Adidas) : https://www.adidas.co.kr/go/campaign/impact/planet
환경: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Primegreen’ 및 ‘Primeblue’ 라인 출시
사회: 다양성과 포용성을 위한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 강화
지배구조: 공정한 경영 원칙 및 지속가능성 목표 설정
호카(HOKA) : https://www.deckers.com/responsibility
환경: 친환경 생산 공정 도입 및 재생 가능한 소재 사용
사회: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위한 캠페인 운영
지배구조: 윤리적 공급망 관리
온(On) 스포츠
환경: 탄소 중립을 목표로 지속가능한 원료 사용 확대
사회: 공급망 내 노동자 권리 보호 강화
지배구조: 지속가능성 보고를 통해 경영 투명성 확보
아식스(ASICS) : https://www.asics.co.kr/mk/sustainability
환경: 에너지 절약형 공정 도입 및 재생 가능 자원 활용
사회: 스포츠를 통한 사회 기여 프로젝트 운영
지배구조: 윤리적 경영 및 지속가능성 전략 강화
결론: ESG 경영이 신발기업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ESG 경영은 단순한 마케팅 전략이 아닌 기업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글로벌 신발 브랜드들은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경영을 바탕으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국가론적 관점에서 ESG 경영은 기업과 사회 간의 신뢰 형성과 공동 발전을 위한 필연적 과정입니다. 기업들은 단순한 이윤 창출을 넘어서 환경 보호, 노동권 보장, 윤리적 경영 등을 실천해야 합니다. 결국, ESG 경영을 제대로 실천하는 기업만이 소비자와 투자자의 신뢰를 얻고 장기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신발 산업에서의 ESG 경영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변화입니다. 더욱 책임 있는 투명한 지배구조와 경영을 통해 환경과 사회, 그리고 경제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실현해야 합니다. 이것이 오늘날 소비자들이 기업들에게 원하는 기업의 모습입니다.